2023 청년 복지 , 생활 정책 총정리 – 도약계좌 마음건강, 문화누리 알뜰카드




2023년에 목돈 든든하게 챙겨서 마음도 든든해지고 싶은 청년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청년이 꼭 알아야할 2023 청년정책 복지·생활 편입니다.

 

✅ 관련 정보 더보기
👉 청년도약계좌 👉 디딤돌 버팀목 대출 👉 중소기업 보증금 대출
👉 농협 비상금대출 👉 청년 주거급여 지급 👉 알뜰교통카드
👉 사회초년생 대출 TOP 10 👉 첫급여 신용대출 👉 금리 저렴한 신용대출 TOP 7




청년세대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출시된 청년 자산 형성 상품입니다.

[지원 내용]​

청년 납입금에 정부기여금을 지원하고 이자소득 등에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2023년 기준 예산 3,678억 원

[지원 대상]

만 19~34세 청년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가구중위소득 위 180%이하

*6,000~7,500만 원 이하는 이자소득 등에 비과세만 지원

[신청 기한]

2023년 출시 및 운영 예정 [👉 자세히 보기]

제도권 금융 이용이 어려운 대학생·청년에게 저금리로 생계자금을 지원합니다.

[지원 내용]​

대출한도 최대 1,200만 원

*금리 3.6~4.5%

[지원 대상]

만 34세 이하

연소득 3,400만 원 이하

[신청 방법]

서민금융진흥원 모바일 앱 또는 가까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하세요.




청년들의 심리건강 회복을 응원하는 청년마음건강 지원 사업입니다.

[지원 내용]​

3개월(10회)간 일대일 맞춤형 전문심리 상담 지원

*사전·사후검사(각 1회/90분) 포함

*본인부담금 10%(자립준비청년·보호연장아동은 본인부담금 면제)

[지원 대상]

만 19~34세 이하 청년 대상

*소득기준 없음

[신청 방법]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누리집

*2023년 중 오픈 예정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격차 완화를 위해 ✔문화 예술 ✔국내여행 ✔체육활동 등을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지원 내용]​

전국 문화예술·국내여행·체육 관련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누리카드 발급 (1인당 11만 원)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중 6세 이상

*2017. 12. 31. 이전 출생자

[신청 방법]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문화누리카드 누리집·모바일 앱

[지원 내용]​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정류장까지 보행·자전거 이동 시 마일리지와 카드할인으로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 (청년층은 최대 38%)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이동거리 측정 및 마일리지 적립

[지원 대상]

알뜰교통카드로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누구나

[신청 방법]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 회원 가입 ▶ 카드 발급

👉 알뜰교통카드 가입 조건

👉 알뜰교통카드 혜택

👉 알뜰교통카드 6종류 혜택 분석

👉 하나카드 신용 / 체크 혜택

👉 신한카드 신용 / 체크 혜택

👉 우리카드 신용 / 체크 혜택

더 많은 복지 정책

✅ 관련 정보 더보기
👉 청년도약계좌 👉 디딤돌 버팀목 대출 👉 중소기업 보증금 대출
👉 농협 비상금대출 👉 청년 주거급여 지급 👉 알뜰교통카드
👉 사회초년생 대출 TOP 10 👉 첫급여 신용대출 👉 금리 저렴한 신용대출 TOP 7






Be the first to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