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 단점 및 은행, 증권사 가입 사이트 바로가기 총정리




납입 금액의 40%를 소득공제해주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입니다. 총급여액 5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인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이라면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청기간입니다. 1년 내내 신청할 수 있다는 뜻이죠. 각 은행사 또는 증권사 홈페이지(펀드 메뉴에서 확인) 및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항목 내용
지원대상 연령 : 만 19~34세 청년대상
개인소득 : 총 급여 5천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3천8백만원 이하)
지원내용 계약기간내 펀드 납입액의 40% 소득공제(3~5년)
연 납입한도 600만원
연 최대 240만원 소득공제
만기수령액 납입액 + 펀드운용수익 (최소 1,800만원, 최대 3,000만원)
가입기간 최소 3년 ~ 5년
가입신청기간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

 

은행 가입 바로가기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SC제일은행 NH농협은행 씨티은행

증권사 가입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유안타증권 SK증권 하나금융투자

 

펀드 특징

펀드는 주식 처럼 직접 상품을 선택하고 투자하는 직접 투자와 다르게 펀드 매니저에게 돈을 맡기고, 투자는 펀드매니저가 하는 간접 투자 방식 입니다.

소액으로 투자 가능하고 전문가가 투자를 대신 해주니 직접 알아보고 투자하는 부담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죠.

 

펀드의 장점

  1. 소액투자가 가능하다
  2. 직접 알아보는 부담이 줄어든다

 

이어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제도에는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득공제 혜택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시행하는 세금 감면 정책 중의 하나입니다.

 

청년형 장기펀드에 가입하면 납입한 금액을 기준으로 연 최대 600만원 한도에서 40% 를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해 준다고 합니다. 최대 240만원의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얘기죠.

 

연 최대 240만원 소득공제

납입금액 40% 소득공제 (연 600만원 한도)

 

 

가입기간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기간은 3년 이상 5년 이하입니다.

과거의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유지기간은 5년에서 10년이었지만 청년형 장기펀드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줄었습니다.

여기서 의무 유지 기간이 3년인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 주의 : 의무 유지기간 3년

 

만약 의무 유지기간 내 중도 해지하면 추징세액이 부과되는데 이는 납입 금액의 6% 정도 된다고 합니다.

 




 

가입조건

만 19세 에서 34세 이하의 청년만 가입이 가능하고 군대를 다녀온 기간은 총 6년까지 인정됩니다. 연간 총급여액, 즉 연봉이 5000만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프리랜서로 사업자 등의 경우 종합소득액이 3800만원 이하여야 하고, 가입전 3년간 금융소득이 2천만원 넘어서 한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었던 사람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가입 후에 연봉이 8000만원을 넘거나 종합소득세 6,700만원을 초과하면 소득공제 혜택이 폐지됩니다.

 

은행 가입 바로가기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SC제일은행 NH농협은행 씨티은행

증권사 가입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유안타증권 SK증권 하나금융투자

 

단점 및 주의사항

펀드는 결국 투자입니다. 무조건 수익이 발생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많은 수익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원금 보존이 안 될 수도 있다는 점은 유의하고 투자 하셔야 합니다. 단순히 최대 240만원 의 소득공제가 된다는 이유 하나로 이 펀드에 투자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펀드에 투자하고자 하는 청년 분들에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가 좋은 선택지 중 하나가 됐으면 합니다.

또한 의무 유지 기간이 3년 이라는 점도 주의하셔야 합니다.

투자 도중에 갑자기 목돈이 필요하다거나 월납입 금액이 부담스러워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는 점을 꼭 유의 하셔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정책 더보기

✅ 정보 더보기
👉 청년도약계좌 👉 청년전용 창업자금 👉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 청년 햇살론유스 👉 청년 문화누리카드 👉 알뜰교통카드
👉 사회초년생 대출 TOP 10 👉 첫급여 신용대출 👉 금리 저렴한 신용대출 TOP 7




Be the first to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