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 동승운전자 추가방법 필요한 경우가 있죠.
부득이하게 예약을 한 사람이 아닌 동승자가 운전을 하게 될 경우가 있죠. 그럴 땐 앱에서 동승자운전 추가하기 메뉴를 이용해 동승자를 등록하면 동승자가 운전을 할 수 있습니다.
목차
쏘카 동승운전자
추가 방법
이용 시작 전에 등록을 하셔야 하며 동승 운전자 등록 방법은 쏘카 앱 > 메뉴(마이페이지) > 이용내역 > 예약된 쏘카 선택 > 동승운전자 추가하기 단, 제3자 운행 및 동승 운전자 단독 운행시 페널티가 발생하며 사고 발생시 자가부담금 적용이 불가합니다.
쏘카 앱 > 차량 예약 페이지 하단 > 동승 운전자 ‘등록하기’ 클릭 > 동승 운전자 쏘카 ID입력 후 추가하기!
동승 운전자는 차량 이용 시작 전에만 추가하실 수 있는데요. 사전에 [동승 운전자 등록하기]를 하지 않으셨다면 예약한 회원님(본인) 외에는 쏘카를 운행하실 수 없습니다.
*TIP! 친구 초대 1만 원 쿠폰 받기
동승 운전자 등록 시 친구도 쏘카 회원이어야 하는데요. 만약 친구가 쏘카 회원이 아니라면, 친구 초대 혜택을 받아보세요. 친구가 쏘카 가입 단계에서 초대 코드 (초대한 회원의 쏘카 ID, 이메일 주소 형식)를 입력하면 회원님과 친구 모두 1만 원 쿠폰을 받을 수 있어요!
만약, 동승운전자가 운전을 하려면 꼭 예약한 사람이 같이 있어야 합니다. 사고가 났을 경우에는 사고 발생시 부상자 및 차량 파손여부를 확인해 경찰서에 신고하고 쏘카 고객센터로 바로 연락을 해야 합니다.
본인 과실이 아닌 경우 경찰 진술서가 보험 적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사고케어센터로 접속하셔서 안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사고 사례
사례
렌터카는 판례가 많이 나와있습니다. 워낙 누적 사건사고도 많아서, 삼자대리운전 같은 경우에는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렌터카 이외에도 차량공유서비스가 존재합니다.
쏘카, 그린카 같은 대형업체 뿐만아니라, 소규모로 차량공유서비스를 운영하는 곳도 존재합니다. 평일에 잠깐 쓰거나, 쿠폰을 먹여서 사용하면 분명 렌터카에 비해서 저렴하게 사용가능한 면도 있어 자주 사용하곤 합니다.
하지만 렌터카에 비해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더 골치 아픈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그 중 하나가 바로 미등록 동승운전자가 사고를 낸 경우입니다.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 처음부터 동승운전자로 등록을 하지 않고 사고를 낸 경우.
- 동승운전자로 등록은 했으나, 제1운전자가 없는 상황에서 사고를 낸 경우입니다.
1번 사례
1)번은 무슨 용기로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건 정말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보험 적용도 안되구요, 아마 차랑공유회사에서 구상권 청구가 반드시 들어올겁니다.
사실 조심하는 운전자와 동승자라면 1번 실수를 저지르는 일은 없습니다. 동승운전자 지정은 추가 요금을 받는 것도 아니라, 그냥 차량 대여를 할 때 면허증 사진만 한 번 더 찍으면 되거든요. 제발 꼭 해주세요. (물론 1년도 안 된 따끈따끈한 면허증이라면 NO)
2번 사례
2)번이 가장 억울할 수도 있는 사례입니다.
간단한 예시로 2번 상황을 볼까요?
A씨는 여자친구 면허증으로 차를 빌렸습니다. A씨가 훨씬 운전 경력이 더 오래됐지만, 여자친구 명의로 신규가입을 했더니 할인 쿠폰을 꽤나 괜찮게 주더라구요. 물론 차를 대여할 때 꼼꼼히 보험도 비싼 걸로 넣고, 동승운전자 지정도 했습니다.
문제는 여행이 끝나고 난 뒤입니다. 차량 반납 동선이 애매해서 여자친구를 먼저 내려주고 A씨가 그냥 차량반납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뭔 일이야 있겠어요?
사실 뭔 일이 일어나고 말았습니다. 유턴을 하다가 사각지대에 들어온 차를 못보고 들이받았거든요.
안타깝게도, 이 커플이 한 모든 노력은 물거품이 됐습니다. 3번에 해당이 되네요.
좀 억울할 수는 있겠지만, 이미 약관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입니다. 과정은 달랐지만 결국 1)번과 같은 엔딩이네요.
해결
안타깝지만 이미 약관에 동의를 한 상황이고, 약관자체도 불합리하거나 신의칙에 반하는 약관은 아닙니다.
차량공유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설마 무슨 일이 생기겠어?”라는 생각을 버리시고, 무조건 안전주의가 원칙입니다.
상대방 위로금 + 수리비만 물어줘야하는 게 아니라, 수리 기간동안 발생하는 ‘휴차료’도 물어줘야 하거든요.
즉, 상대방 + 수리비 + 휴차료라는 3단 콤보를 맞게 됩니다.
동승운전자라면, 무조건 주 운전자가 있는 상태에서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운전 연습은 쏘카말고 자차로 하시구요~
사고 시 대처방법
차량 이용 중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했는데도 불구하고 고객센터(1661-3315)로 즉시 연락하지 않고 임의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보험 혜택을 적용받을 수 없으며 미신고 페널티 요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사고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쏘카 서비스 이용이 정지되며 미납요금이 있거나 벌금 및 손해배상 등 쏘카에 대한 채무가 남아있는 경우도 쏘카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밖에 쏘카에 금전적, 물질적 손해를 입힌 경우 쏘카 내규에 따라 이용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쏘카 보험 살펴보기
쏘카 보험에는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모든 쏘카에는 자동차 종합보험 및 선택하신 자기부담금에 따라 차량 손해 면책제도가 모든 차량에 적용됩니다.
대여시 선택하신 보험료에 따라 차량 수리비가 자기부담금 미만인 경우에는 발생한 수리비 만큼만 실비정산을 하며 자기부담금 이상인 경우에는 자기부담금만 지불하시면 되겠습니다.
단, 사고 발생 즉시 신고하지 않았거나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손해, 예약자 이외의 운전자가 일으킨 사고, 1종보통 이상의 면허 소지자 외에 습합차량 운전 등 쏘카 대여약관에 의거한 손해면책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자기차량 손해 면책제도에서 제외되며 법적 고발 및 이용불가조치가 행해질 수 있습니다.
- 만약 상해나 재물상의 손실이 본사의 배상한도를 초과했을 경우 초과분에 대하여 지급할 책임이 있으며 관련 보험사나 상대측 보험사와 협의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허가되지 않은 사용에 대한 사건 및 사고는 보험으로 보상되지 않습니다.
- 비회원의 운전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사고의 피해도 보험 적용이 되지 않으며 기존 회원자격 상실의 사유가 됩니다.
- 차량 이용 및 보험에 관한 사항은 쏘카 자동차대여약관에 따르게 되므로 차량 예약 전에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