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스키 기본 용어
위스키 니트 (Neat)
날 것 그대로라는 뜻으로 위스키의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그냥 마시겠다는 의미입니다. 샷, 스트레이트와 같다고 볼 수 있으나 샷이나 스트레이트는 한 두 모금에 마시겠다는 의미가 강해서 샷잔에 제공되는 경우가 보통이나 이와 구분하기 위해 니트(Neat)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위스키 전용 글라스에 제공되는 게 보통입니다.
위스키 글렌캐런 (Glencairn)
글랜캐런은 글랜캐런 크리스털 사에서 만든 위스키 전용 클라스 입니다.
위슼 온더락 (On the rock)
온더락은 위스키를 얼음에 타서 마시는 음용 방법입니다.

위스키 알콜부즈 (Alcohol Booze)
알콜부즈 위스키향을 맡을 때 알콜이 가진 향입니다. “알콜부즈가 많이 튄다”라는 뜻은 알콜향이 너무 강하게 올라와서 다른 향을 맡는데 방해가 된다는 뜻이죠.
위스키란
스카치 (Scotch)
스카치는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된 위스키를 스카치 위스키라 합니다.
증류소 (Distillery)
증류소는 위스키를 만드는 중요한 공장을 말합니다.
캐스크 (Cask)
캐스크는 위스키를 숙성하는 나무통을 말합니다. 오크통과 같은 말입니다.
위스키 맛
블렌딩 (Blendign)
간혹 싱글몰트를 “싱글”이라는 단어 때문에 블렌디드 위스키와 다르게 섞이지 않은 술이라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는데 싱글몰트라고 해도 거의 대부분의 위스키들은 블렌딩 과정을 거칩니다. 한 병에 담긴 위스키 원액은 보통 수십 개의 캐스크에 담겨있던 원액들이 블렌딩 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숙성 과정이 하루이틀이 아닌 몇 년에서 수십 년이다 보니 똑같은 원액을 똑같은 캐스크에 담아 숙성시키더라도 캐스크가 놓여진 장소, 높이에 따라서 혹은 숙성이 진행되던 기간 동안의 날씨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맛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판매되는 제품이 항상 같은 맛을 내기 위해선 원액을 병에 담기 전에 각 캐스크들 마다 맛과 향을 분석한 후에 블렌딩을 해야 합니다.
싱글캐스크 (Single Cask)
싱글 캐스크는 앞서 말한 블렌딩 과정을 거치지 않은 하나의 캐스크 에서 숙성된 위스키를 말합니다. 블렌딩을 하지 않아도 충분한 상품 가치가 있어서 한정판 개념으로 출고하는 제품입니다. 보통 한 캐스크 에서 300~700병 정도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 제품보다 비싼 게 보통이고 같은 증류소에서 나온 같은 싱글 캐스크 제품이라도 캐스크 번호에 따라서 서로 다른 맛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줄여서 “싱캐”라고 부릅니다.
캐스크스트렝스 (Cast Strength)
대부분의 위스키는 캐스트에서 숙성된 원액을 병에 담기 전, 물을 첨가해서 알콜 도수를 일정하게 맞추는 작업을 하는데, 캐스크 스트랭스는 이 작업을 제외한 제품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50에서 65도 사이의 고도수 제품이 만들어집니다. 알콜 도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알콜의 용해되는 향미 성분들이 많아져서 향이 굉장히 진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알콜 부지 역시 강하다 보니 독주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 보다는 알콜에 익숙한 주당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줄여서 CS라고 부릅니다.
나스 (NAS)
Non Age Statement의 줄임말로 숙성 연수를 표기하지 않은 제품을 말합니다. 스카치 위스키 협회에서는 라벨에 반드시 블렌딩 된 원액 들 중에서 숙성이 가장 짧게 된 원액들 중 숙성이 가장 짧은 원액의 숙성 연수를 표기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100년 숙성 원액 90%와 3년 숙성 원액 10%가 블렌딩 되었다면 라벨에 표기될 숫자는 3년입니다. 이렇게 되면 본래 위스키가 가진 가치보다 저품질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숙성 연수를 표기 하지 않는게 보통입니다. 대표적으로 조니워커 컬러 시리즈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싱글몰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고숙성 원액이 부족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에 점점 NAS 제품들이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네츄럴 컬러 (Natural Color)
내추럴 컬러 스카치 위스키는 협회 규정에 따라서 카라멜 색소를 첨가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블렌딩하는 이유와 비슷하게 숙성된 위스키 원액들 맛이 다르듯이 색 또한 다르다 보니 판매되는 제품의 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색소 첨가를 허용 한 것이죠. 소량의 색소도 첨가하지 않은 제품을 내츄럴컬러라고 합니다.
넌칠필터링 (Non-Chill Filtered)
위스키에는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방산은 알콜 도수가 낮아지거나 온도가 낮아지면 서로 뭉쳐 가지고 건더기를 만들거나 위스키를 뿌옇게 만드는데요. 이를 “헤이즈 현상”이라 하며 이 헤이즈 현상은 육안으로 보기에 좋지 않기 때문에 일부러 위스키 온도를 낮춰서 헤이즈를 일으킨 후에 필터를 통해 제거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을 “칠필터링”이라고 하여 이전에는 품질 유지를 위한 필수 과정으로 여겼으나 최근에는 위스키 본연의 맛을 해친다고 해서 칠필터링을 제외하는 제품들이 많습니다. 칠필터링 하지 않은 제품을 넌칠필터링이라고 합니다.
피트 (Peat)
다른 위스키에서는 보기 힘든 스카치 위스키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흔히 병원 냄새, 소독약 냄새, 훈제 냄새 등으로 표현되는 향입니다.
피피엠 (PPM)
페놀 수치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이 패놀수치가 높을수록 피트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 피트향의 강도를 표현하기 위해 라벨에 PPM을 표기하는 증류소들이 있습니다. 숫자가 클수록 패널 수치가 높고 피트향 역시 강한 편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여기까지입니다.
그리고 글랜드로낙에서 사용하는 캐스크 보틀링은 싱글캐스크 대신 사용하는 용어인데요. 이는 싱글캐스크의 허점에서 출발합니다. 원액이 하나의 오크통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숙성되는 것을 싱글캐스크라고 하는 게 당연하다 생각되지만 규정상 원액이 중간에 다른 오크통으로 옮겨가도 문제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원액을 처음 버번캐스크에 6년 숙성시키다가 그곳에 있는 원액들을 셰리캐스크에 옮겨 6년 숙성시키고 병입하면, 이원액은 더블캐스크의 개성을 가지고 있게 되지만 싱글캐스크라고 이름 붙여도 규정상 문제가 없다는 것이죠.
이런 문제가 나오게 된것은 실제로 숙성을 하다보면 캐스크 자체가 문제가 생겨 어쩔 수 없이 원액을 옮겨 담아야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실상이 공개된 후 드로낙 증류소에서는 오해를 줄이기 위해서 싱글캐스크란 단어 대신에 캐스크보틀링이란 단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Leave a Reply